역대 대선 투표율 및 득표율 정리. 과반이 넘는 대통령은 단 한 명. (직선제 이후)
본문 바로가기
Issue/Social Issue

역대 대선 투표율 및 득표율 정리. 과반이 넘는 대통령은 단 한 명. (직선제 이후)

by Crim 2017. 5. 9.

 

 

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된 첫 선거인

 

13대 대선의 투표율은 무려 89.2%

 

민정당 노태우가 최저 득표율인 36.6%로 대통령 당선.

 

민주화를 시작했더니 그것을 딴 놈이 차지해버린.

 

 

군부세력이 아닌 민주화 세력이 첫 집권을 한

 

14대 대선의 투표율은 81.9%

 

3당 합당이라는 비극을 통해서

 

민자당 김영삼 후보가 42.0%의 득표로 당선

 

여야가 처음으로 바뀐 첫 대선인

 

15대 대선의 투표율은 80.7%

 

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후보가

 

40.3%의 득표율로 당선.

 

IMF라는 초유의 국가 위기를 겪었음에도

 

여권에 몰린 표가 어이가 없었던 선거.

지지율 1%로 시작한 노무현이

 

48.9%의 득표율을 기록하고 당선된

 

16대 대선의 투표율은 70.8%.

 

사상 최저 투표율을 기록한 17대 대선.

 

63%라는 수치를 기록.

 

망조의 시작이었던 선거.

민주화 이후 첫 탄핵 대통령이 탄생된

 

18대 대선의 투표율은 75.8%.

 

직선제 이후 첫 과반득표에 성공한 박근혜였지만

 

현재는 수인번호 503이 되어버렸다.

 

 

사실 누가 이기든 과반이 힘든 상황.

 

유력후보가 세 명이나 되는데 여기서 과반을 얻는다?

 

물론 이 상황에서 과반을 얻는다면

 

주는 의미가 분명히 다르겠지만.

 

혹시라도 과반이 안되었다고 언론에서 까면

 

그 언론을 까면 된다. 병신인증하는 거니까.

 

이명박의 득표율은 노무현보다 낮았다.

 

거기에 투표율도 똥망이었다는 것을 고려해야하고.

댓글